• 최종편집 2024-04-27(토)
 

7월의 목동반은 만복대로 향했다

능선의 시원함과 여름 풀꽃이 우리 걸음과 함께 한 날이었다.

 

하늘말나리.png        말나리.png

<하늘말나리>                                                                      <말나

 

검나무싸리.png         지리터리풀.png

<검나무싸리>                                                                     <지리터리풀>

 

만복대로 오르기 위해 정령치 주차장에 모였다. 정령치는 마루금 복원으로 터널을 만들고 식생을 복원했다

식생복원이라고 하지만 영산홍과 일본 원예종인 홍단풍(노무라단풍)이 심어져 있었다. 우리의 문제 제기로 홍단풍은 제거 되었지만 아직도 영산홍은 그대로이다.

이제 계단을 오르려 한다. 그런데 계단 입구 오른쪽에 해충기피분사기가 있다. 사람들은 제 몸에 칙칙하고 뿌린다.

 

해충.

사전적 의미는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인간에게 해를 끼친다는 것은 인간의 서식지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인간의 서식지에서는 인간이 최선이고, 인간을 중심으로 모든 것이 이루어져야 하며, 인간이 지고지순한 가치이기 때문에 인간에게 해를 끼친다는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숲은 인간의 서식지가 아니다. 나무와 풀을 비롯한 식물을 먹이와 은신처로 살아가는 크고 작은 동물들의 서식처이다

모두가 알다시피 숲은 그곳에 사는 동물과 식물이 주인이다. 사람이 숲에 가는 것은 그곳에 살기 위함이 아니다. 잠시 스쳐 지나는 것이다. 그럼 주인에게 해로운 대상은 누구인가?

사람의 서식처에는 온갖 벌레가 해로운 존재라고 한다. 그럼 동식물의 서식처에는

 


설명서.png

<해충기피제 분사기의 친절한(?) 설명서 >

 

지난 6월에 함양에서는 함양교육청 주관으로 생태강좌와 환경교육포럼이 진행되었다. 함양의 상징인 상림에 대한 발표는 나와 함양여중 학생이 발제를 했다. 여학생의 주제는 상림의 해충과 벌레였다.

천년의 숲, 상림은 본디 동식물이 어우러져 살아가는 곳이다. 그런데 상림에 운동이나 산책을 하면서 사람을 귀찮게 하는 벌레를 해충이라 부르며 없애고 있다. 해충기피제를 뿌리고, 가로등 아래 설치된 해충살충기의 기계 소리가 불빛으로 날아온 벌레를 빨아들이고 있다. 숲의 주인인 벌레를 쫓거나 잡아 죽이면서 숲을 걷는다면 과연 옳은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로 발제를 했다. 사람이 불편하지 않으면 정의로운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화두로 던진 것이다.

그 어린 14살의 중학교 1학년이 보기에도 어색한 해충이미지가 안타깝게도 국립공원 정령치에도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숲은 사람에게 이로움을 주기도 하지만 당연히 불편한 벌레가 살고, 독초라 불리는 사람에게 해로운 식물도 있다. 사람에게 좋고 나쁨이 같이 있는 것이다.

숲이 좋으면 불편함을 감수하고 숲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녀가는 것이다. 그게 숲을 대하는 바른 태도이고, 더불어 살아가는 지혜이다.

숲에 벌레가 있다고 민원을 제기하면 그 민원을 들어줄 것이 아니라 계도를 해야 한다. 국립공원이 진정한 동식물의 보고가 되고, 오랫동안 그 자연과 함께하려면 우리의 의식이 먼저 바뀌어야 한다.

지금 전 세계는 탄소중립이 화두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산악열차가 덜컹거리며 지리산을 오르려 발악을 하고 있다. 숲의 주인인 벌레를 해충이라 부르는데 거부감이 없다. 기후위기 시대에 자연을 무시하고, 숲을 파괴하면서 사람만 잘사는 법이 있을까? 단언하건대 없다!

 

전체댓글 0

  • 29484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만복대를 걷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