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중, 그리고 땅과 농사
이선재(한겨레생명평화농장 대표)
농사를 체계적으로 기술한 인류 최초의 서적은 기원전 1세기 중국 전한시대 범승지가 편찬한 『범승지서』이다. 농경이 시작된 이래 농사는 모든 인간의 일상이고 중요한 관심사였겠으나 문자생활을 영위한 지배계급이 기록할 대상은 아니었던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자』는 본격적인 농서의 출현 이전 농사를 짐작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관자』는 관중의 사상을 담고 있는 꽤 방대한 분량의 ‘경세서’이다. 정치, 철학, 수양 등 내용이 다양하고 저자에 대해서는 설이 분분하지만 관중과 떼어놓고 생각할 수는 없다. 논어가 공자가 쓴 책이 아닌 것과 마찬가지이다. 『관자』는 이후 중국의 여러 정치, 철학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의학 등의 뼈대를 이루는 음양오행 사상을 정립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관자』야말로 동아시아 문명의 원형질과 같은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관중은 제나라 환공을 춘추오패의 첫 번째 패자로 만든 명재상이다. 중국에서는 역사상 최고의 재상으로 추앙하고 있다. 우리에게는 ‘관포지교’의 주인공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사기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관중은 수없이 실패와 좌절을 겪었는데 그때마다 포숙아의 이해와 도움으로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환공이 포숙아를 재상에 앉히려고 하였으나 포숙아는 환공을 설득해서 관중을 재상으로 삼게 한다. 『관자』가 관중의 생각이 담긴 저술이라고 전제하면, 그가 한 나라를 부유하고 강하게 일구어내는 것에 대하여 얼마나 철저하게 준비를 했는지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관자』는 농사를 별도로 다루고 있지는 않다. 다만 지원(地員)편에서 토양의 등급과 물산정책을 다루고 있는데 여기서 당시 농업에 대한 시각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먼저 토양의 등급을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누고 있는데 첫 번째에 제시하고 있는 토양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강변에 충적되어 기름진 땅은 곡식을 심는데 마땅하지 않은 곳이 없다. 그 곡식의 낱알은 크고 이삭은 충실하다. 나무는 원나무, 참죽나무, 팥배나무, 소나무가 잘 자라고 풀 종류는 천문동이 적합하다. 이런 땅을 ‘오시’라 하는데 35척을 파면 샘이 솟는다. 울리는 소리는 각(角)에 합한다. 그 물은 푸른 색이고, 그곳에 사는 백성은 심신이 튼튼하고 기력이 왕성하다.
전반적 기술에 오행적 사유가 깊이 배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농사와 관련해서 이 예시에서는 특정 작물을 거론하지 않고 모든 곡식 농사에 마땅하다고 말하고 있다. 두 번째 ‘검붉은 땅’ 역시 작물을 가리지 않고 있다. 세 번째 ‘누런 찰흙’은 기장과 찰수수만 적합하다고 말하고 있으며 네 번째 ‘염분이 많은 점토’에는 콩과 밀을, 다섯 번째 ‘검은 점토’에는 벼와 보리를 심으라고 권하고 있다. 채소는 거론하지 않고 있는데 옛 선인들에게 채소 농사는 부차적이었기 때문이다.
이밖에 지원편에서는 토양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제시하고 있는데 하나의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
무릇 풀과 흙의 관계는 각각 가장 자라기 좋은 자리가 있다. 어떤 것은 높은 곳에, 어떤 것은 낮은 곳에, 각각 알맞은 풀이 자랄 수 있는 토질이 있다. 잎만 있는 해초의 생장 지역은 마름보다 낮고, 마름의 생장 지역은 왕골보다 낮고, 왕골의 생장 지역은 부들보다 낮고 (중간 생략) 무릇 저 풀 종류에는 12등급의 차이가 있고 각각 제 자리를 찾아 생장한다.
요즘 땅을 구해서 농사를 지으려면 먼저 농업기술센터에 토양 분석을 의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토양의 화학적 구성과 일부 물리적 성질, 생물학적 특징에 대한 시험 결과를 받을 수 있다. 문제는 대부분의 농민들이 토양분석 결과를 받은 후 하는 일은 모자라는 성분을 보충하는 일이라는 점이다. 즉 화학비료를 투입하게 된다는 사실이다.
흙이란 바위가 아주 오랜 세월의 풍화작용을 거쳐서 만들어진 것이다. 그리고 지금도 역시 지속적으로 풍화작용이 진행되고 있다. 토양의 화학적 구성의 뼈대는 모암이 어떤 것이냐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부족한 화학성분을 투입한다고 하더라도 토양의 구성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 더욱이 투입된 화학비료의 70% 이상은 강과 바다로 흘러가 수질을 오염시킨다. 또 흙이란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미생물들이 살아가는 거대한 생태계인데 화학비료를 투입하게 되면 그 생태계는 치명적인 손상을 입게 되어 필경은 토양의 사막화라는 뼈아픈 결과를 맞게 된다. 일시적으로 수확량을 증대시킬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농사의 기반을 허물어버리는 우를 범하게 된다.
농사는 자연이 짓는다는 말이 있다. 농부는 단지 그 자연이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돕기만 하면 된다. 과욕은 금물이다. 토양을 바꾸려고 하기보다는 그 토양에 맞는 작물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이 훨씬 현실적이다. 토양분석 결과를 받아보고 나서 할 일은 거기에 새로운 화학성분을 투입해서 구성을 바꾸는 것이 아니다. 올바른 태도는 그 땅이 더 건강하고 활력 있게 변화해 갈 수 있도록 하는 농사를 구상하는 것이다.